반응형
미국 증시인 다우, 나스닥, S&P의 경우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죠.
쭉쭉 오르고 있습니다.
그런데 왜 코스피의 경우는 이렇게 지지부진할까요?
반응형
미국 증시 대비 최하 3300~3400정도는 가야할꺼 같은데요..
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되겠지만,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코스피 이익 전망치가 아닐까?합니다.
https://www.mk.co.kr/news/economy/view/2021/10/991558/
코스피 기업 3분기 실적 기대 낮아져…이익 전망치 한달새 34%↓
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후 하향세…인플레 우려 등 반영
www.mk.co.kr
주가가 오르는 이유는 기업들의 실적이 좋을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여러 기업들을 매수하면서 주가는 오르는것일겁니다. 그런데 그 이익 전망치가 낮아진다면? 주식을 살 이유가 없죠. 코스피 기업들의 이익이 100조는 될꺼 같아서 주식을 샀는데, 이익이 80조라면 보유자들도 팔게 될것입니다.
주식은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보고 사기 때문에 이익 전망치가 꽤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일꺼라 봅니다.
반응형
'재테크 > 시장 업종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월 15일 아름다운 상승 코스피 바닥인가?? (6) | 2021.11.15 |
---|---|
위기의 코스피 11월 11일 불타 오르길... (2) | 2021.11.11 |
조정장이 끝인가? 11월 2일 삼성전자 양매수, 코스피 1.16% 상승 (2) | 2021.11.02 |
10월 27일 밀리는 미국 주식 시장 - 조정의 시작? (4) | 2021.10.28 |
10월 27일 코스피 조정 타이밍? (0) | 2021.10.27 |
댓글